- 오늘의 회의 Todo
- github 규칙 정하기
- 역할 분배
- 개발 계획 세우기
- 우선 깃헙 관리에 대한 규칙을 세웠다.
한 사람당 하나의 branch를 주어서 각자 개발한 부분에 대해서 이 branch에 업로드/업데이트 한다.
앱을 개발하는 것이다 보니 각자 java로 앱의 버튼에 기능을 달아주려면 xml 파일이 필요한데, 이러면 [UI 작업 >> java 작업] 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의논을 통해 각자 기능을 맡아서 그 기능에 맞는 작업을 하며 필요한 사람이 xml 파일까지 만들면서 개발하도록 정하였다.
- 역할 분배
역할은 figma에서 제작 했던 UI를 토대로 짰다. UI를 보고 몇 개씩 선택하는 식으로 분배했다.
내가 맡은 기능은 '검색 기능'이다.
검색은 문제집(어드민/유저), 유저(어드민), 그룹(어드민)이 있다.
괄호안에 유저, 어드민의 의미는 누가 주체가 되느냐이다. 우리 앱은 어드민은 문제집, 사용자, 그룹(분반)에 대해서 필터를 쳐서 검색을 할 수 있다. 다만 유저는 다른 사용자와 다른 분반에 대해서 검색할 일이 없기 때문에 문제집만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앱에 대해서 보안, DB, Server-Client에 대한 역할 분담도 했다.
우리 동아리 사람들은 전부 위 분야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어딜 가도 반드시 공부를 해야 한다. 이번에 나는 협업 개발이라는 큰 경험을 하는 중이기 때문에 겸사겸사 경험치를 많이 챙겨가고 싶었다. 그래서 평소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고 싶지 않았던 '보안'에 대해서 발을 들여보기로 했다.
보안에 관심이 없던 이유는 다방면에서 해킹 시도를 막아내기란 정말 어렵다고 생각했고, 정말 첨단의 첨예를 달리는 분야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여유를 즐기는 나는 그런 작업을 해낼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앱 개발은 실시간으로 앱 공격을 받을 일이 극히 드물고, 보안에 조예를 쌓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DB나 Server-Client는 마음만 먹는다면 3, 4학년 때 학교 수업에서 배워볼 수 있다. 그렇다고 보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학교 수업을 따라갈 자신이 없어서 이렇게 혼자해보려는 것도 있다.
데이터는 JSON을 이용해서 자바의 GS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로 했다. (HTTP사용)
- 개발 계획 세우기
개발은 1월 한 달간 진행한다. 2023년 1월은 총 다섯 주이기 때문에 다섯 주에 맞춰 계획을 짰다.
1주차 - 테스트 data, activity들 만들기
2주차 - activity 모두 만들기
3주차 - 실제 서버 데이터에 적용해보기
4, 5주차 - 피드백 반영 및 수정
오늘의 소감 - 본격적으로 앱을 개발하려니 조금 겁이 나기도 하고 떨린다. 깃헙을 다루는 방법도 아직 모르는게 많고, 인텔리제이랑 깃헙을 연결하는 방법도 모르는 상태이다. 천천히 알아나아가면서 개발 경험을 쌓으려는 나 자신이 어렸을 적부터 그렸던 이상에 가까워지는 것 같아 조금 설렌다.
'활동 > 2022 겨울방학 학습 동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작업을 하면서 모르거나 실수했던 내용들 (0) | 2023.01.15 |
---|---|
23/01/15 6번째 모임 (0) | 2023.01.15 |
23/01/12 5번째 모임 (0) | 2023.01.12 |
23/01/05 4번째 모임 (0) | 2023.01.05 |
12/28/2일차 - ui 수정 및 기능 보완 (0) | 2022.12.28 |
댓글